국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지 3달째 접어들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어가는 지금, 원격근무를 비롯해서 원격학습에 이르기까지 앱을 통한 비대면 서비스가 익숙해지고 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우리의 모바일앱 이용 패턴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이용성 지표 서비스인 모바일인덱스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앱 이용 현황을 살펴보자.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마트, 식음료판매 등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의 사용자가 2020년 1월 대비 3월 각각 11%, 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같은 기간 해외여행(-60%), 영화(-50%), 외식/음식점(-13%), 카메라(-12%), 송금/결제(-5%), SNS(-1%) 등 모바일 앱 카테고리는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제 앱 1위 ‘삼성페이’의 3월 첫째 주 사용자 평균이 1월 첫째 주 평균 대비 약 20% 감소했으며, 2위인 ‘페이코’ 역시 약 14% 감소했다. 이 밖에도, 3위 ‘LG페이’는 14% 감소, 4위 ‘인천e음’ 7% 증가, 5위 ‘SSG페이’는 10% 감소했다.
코로나19가 심각 단계로 격상하면서 외출 자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자연스럽게 SNS의 사용이 감소하고, 카메라 앱의 사용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스타그램’의 1월 첫째 주 평균 사용자는 646만명이었으나, 3월 첫째 주 평균 사용자 585만명으로 9%가 감소했으며, 카메라 앱 1위 ‘스노우’는 동기간 무려 29%의 사용자 감소를 보였다.
지난 2월 18일에 신천지 집단감염의 첫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모바일 장보기 앱 사용자가 급증했다. ‘이마트몰’은 무려 81% 급증했으며, ‘마켓컬리’ 77%, ‘홈플러스’는 49% 증가했다.
반면, 외출을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외식 앱 시장은 타격을 받아, ‘망고플레이트’는 47% 감소, ‘다이닝코드’는 52%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3월 3일에 ‘공영홈쇼핑’에서 르에어 마스크 판매 이후 사용자가 10배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공적 마스크 판매처인 우체국과 농협도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사용자 연령별로는 40대(41.7%) > 30대(26.9%) > 50대(19.4%) > 20대(6.0%) > 60대 이상(4.6%) > 20대 미만(1.4%)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여성 사용자 비율이 79.89%로, 남성 사용자 비율 20.11%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코로나19 여파로 밀폐된 공간 방문을 자제하게 되면서 영화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대표적으로 ‘CGV’ 앱의 1월 첫째 주 평균 사용자는 44만명에 육박했으나, 3월 첫째 주 평균 13만명을 기록하며 무려 71% 감소했다.
반면, ‘넷플릭스’의 1월 첫째 주 평균 사용자는 약 80만명이었으나. 3월 첫째 주 평균 사용자 97만명을 기록한 데 이어, 3월 14일에는 일 사용자 126만명을 기록하는 등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위 결과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협업툴 ‘콜라비’, 국내 유료고객 3월에 9배 증가.. “일본 시장 공략” (0) | 2020.04.14 |
---|---|
[모집] 스마트미디어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4/21) (0) | 2020.04.14 |
쿠팡, 2019년 매출 7.2조에 7,200억원 적자.. 전년 비해 적자 34% 줄어 (0) | 2020.04.14 |
네이버, AI 더빙 기능 강화.. 5분에서 20분으로 확대 및 영어-일본어 지원 (0) | 2020.04.14 |
코로나 19 때문에 여행업체가 라이브 커머스 진행하는 사연은? (0) | 2020.04.14 |